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좋은 리더란
- Domination Game
- css
- 리더
- JS
- 개발자
- ai로 앱 만들기
- typescript
- 구로 공유 오피스
- multiprocessing
- 2인 사무실
- 공유 오피스
- Django
- Regexp
- javascript
- PM
- 동료리뷰
- html
- select css
- React
- XFrameOptions
- 구로 디지털 단지 사무실
- 테드스페이스
- 스타트업
- turborepo
- iframe
- 빠른 서버
- 느린 서버
- select tag
- python
- Today
- Total
목록개발 기록 (19)
개발하는 일상

개발자로 경력을 쌓다 보면 외주나 강의 제안이 들어오곤 한다. 어떤 건 단가가 예상보다 높아서 ‘이렇게 벌면 프리랜서가 훨씬 낫지 않을까?’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. 하지만 ‘연 1억’이라는 숫자만 보고 프리랜서로 전향하는 건 위험할 수 있다. 왜냐하면 프리랜서는 벌어들인 돈이 전부 내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. 이 글에서는 프리랜서로 연 1억을 벌었을 때 실제로 얼마나 남는지를 계산해 본다. 세금, 건강보험료, 국민연금 등 필수적으로 빠지는 비용을 살펴보고, 직장인과 비교하면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본다. 1. 종합소득세대한민국에서는 소득에 따라 내야 하는 세금이 있다.만약 1억을 벌었다면 1억 * 35% -1,544만 원 = 1956만 원을 세금으로 내야 할까? 아니다. 1억은 수입이다. 소득이란 뭘까..
코드를 먼저 보고 싶다면: https://github.com/bingbing-ba/turborepo-next-jest-config-package GitHub - bingbing-ba/turborepo-next-jest-config-packageContribute to bingbing-ba/turborepo-next-jest-config-packag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github.com 우리 팀은 현재 3개의 Next.js 앱을 모노레포(monorepo)로 관리하고 있다. 이번에 테스트 코드를 활용할 일이 생겨 처음으로 테스트 환경을 구축하게 되었다. 각 앱별로 개별 설정을 관리하기보다, 모노레포 구조를 활용해 공통 설정 패키지를 만들어보기..

최근에 회의실 예약 앱을 만들게 되었다.그런데 링크드인에서 본 AI로만 코딩했다는 글이 떠올라 나도 시도해 보기로 했다.작업은 일주일 정도 걸렸고, cursor를 사용했다. AI 코딩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고치는 기간이 되었고, 그 경험을 공유해보고자 한다. 첫 번째 문제: 마법 램프의 지니처럼 알아서 해줄 거라는 기대먼저 Next 템플릿을 생성하고, 회의실 예약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프롬프트를 썼다. composer는 바로 코드를 작성하기 시작했다.원래는 추가 설명을 잔뜩 할 생각이었는데, 냅다 코드를 작성하기 시작하는 것을 보고 나도 기대를 갖게 되었다.보편적인 앱이니까 설명 없이도 어느 정도는 해줄 거라는 기대. 거의 3분 만에 이런 화면을 보게 되었다. 내가 한 거라곤 첫 프롬프트 이후에 계속 ..
지원동기는 여전히 중요하다요즘은 5년 전 취준생일 때보다 지원동기를 필요로 하는 곳이 많이 줄어든 느낌이다. 나는 지원동기가 필요하지 않은 곳에도 이력서와 함께 지원동기를 몇 줄 적어 보낼 때가 많다. 그 몇 줄이 체감상 5배는 합격률을 높여주는 것 같다. 그렇다고 "돈 벌려고" 같은 지원동기를 쓸 수는 없다. 어떤 지원동기를 써야 할까? 커리어 목표를 정하면 지원동기는 쉬워진다좋은 지원 동기를 쓰기 위해서는 먼저 나의 커리어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. 지원 동기는 내 커리어 목표에 따라 자연스럽게 따라온다. 보통 이런 형태로 쓴다. 나는 A를 목표로 일하고 있어요.귀사의 제품을 만들게 되면, B라는 점이 제 커리어에 도움이 될 것 같아요.목표 A를 위한 노력이 귀사의 제품에도 도움이 될 거라 ..
개발자 커리어 탐방 시리즈 문대승님지난 9월 1일, 문대승 님을 만나 혼자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만들게 된 과정과, 그 과정에서 어떤 오퍼를 받았는지도 솔직하게 여쭤보았습니다. 대승님의 작업부터 먼저 소개드릴게요.페이지 전환 애니메이션 라이브러리: https://ssgoi.pages.dev커스텀 그래픽 렌더링 라이브러리: https://flitter.dev쉬운 ERD 제작을 위한 라이브러리: https://easyrd.dev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만들게 된 계기 빈산👷♂️: 처음 오픈소스 라이브러리(이하 오픈소스) 제작을 하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. 대승👨💻: 처음 만들게 된 오픈소스는 노션 기반 블로그였어요. 취업이 목적은 아니었고, 제 블로그 작업이 불편해서 만들게 되었는데요. 나만의 니즈를..

우리 서버는 응답 시간이 500ms 정도야. 평균 속도보다 느리니까 개선하면 좋을 것 같아. 정말 개선하면 좋을까? 좋다면 얼마나 좋은걸까? 프로젝트 Domination Game은 이 질문에서 시작되었다. Domination Game은 땅따먹기 싸움과 비슷하다. 다만 땅을 따먹는데 1시간이 걸린다. Dominate 버튼을 누르면 점령을 시작하고, 한 시간 동안 다른 사람이 버튼을 누르지 않길 바라고 있어야 하는 게임이다. 다른 사람이 버튼을 누르면 나는 점령에 실패한다. 점령에 성공하면 쌓인 상금을 받는다. Dominate 요청에 서버가 응답하는데 한 시간이 걸린다면, 그 서버는 빠른걸까? 아니면 느린걸까? 나는 게임 소개란에 "알맞게 빠르다" 라고 썼다. (물론 비용을 생각하면 알맞지 않다. 아래 비하..